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분류사

<한국사> 요점정리 분류사 붕당정치와 당쟁의 흐름

 4색 당파

 

사림들은 강력한 훈구세력과 대결을 위해 단결하지만, 그 뒤 자체 분열 하여 학연과 지연을 바탕으로 붕당이 생긴다. 붕당간 치열한 정권다툼이 벌이게 된다. 붕당간 견제와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붕당정치가 전개된다.

 

공론이 중시되는 정국이 되어 합좌기구인 비변사를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게되고, 상대세력을 견제하고 자기세력을 옹호하면서 세력을 확대하기 위해 3사 언관과 이조전랑의 정치적 비중이 높아지게 된다.

 

 

 

 

 

 

 

사림의 분당 1575, 선조

 

이조전랑직 문제와 대훈척계태도

동인-김효원

서인-심의겸

 

 

 

 

동인의 분당 1599,선조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동인의 세력약화

서인에 대한 세자책봉문제 처벌 관련 대립

정철 건저의 상소문제로 서인 정철 축출

정철사형의 북인(조식계열)

정철귀양의 남인(이황계열)

 

 

 

북인의 분당 1599, 선조

 

홍여순(대북)이 대사헌으로 천거되자 당시 정랑인 남이공(소북)이 반대

노장파 대북(광해군 추대)

소장파 소북(영창대군 추대)

 

 

인조반정 후 서인분당

 

인조반정에 가담 여부

가담한 공서파-노서로 개편

가담안한 청서파-소서로 개편

 

 

남인의 분당 1673,현종

 

송시열의 처벌문제를 놓고 분열

허목줌심의 감경파-청남

허적중심의 온건파-탁남

 

 

서인의 분당 1680, 숙종

 

경신환국이후 지도권 쟁탈전

송시열 등 노자-노론

윤증 등 소장-소론

 

 

정조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입장

강경파인 벽파-노론중심

온건파인 시파-남인중심(소+노)

 

 

 

 

당쟁의 흐름과 체계

 

 

 

 

 

1.선조

동서분열(이조전랑직 문제)

김효원-동인(후배사림)

심의겸-(선배사림)

 

동인분열(강경-북인)

-서인보복탄압 문제

 

2.광해군

북인(대북)집권

-중립외교

 

3.인조

서인집권(친명배금)

 

4.효종

서인의북벌운동

기해독대(송시열)

 

5.현종

1차 기해예송 - 서인승리

 

6숙종

2차 갑인예송 - 남인승리

경신환국 - 붕당정치의 원리붕괴,상대당의 존재부정

기사환국(남인재집권)

갑술환국(소론과 노론 교차집권)

정유독대(이이명)

 

7.경종

신임사화(소론집권)

 

8.영조

완론탕평(온건타협)

 

9.정조

준론탕평(시시비비 허용, 의리와 명분중시)

 

10.순조 헌종 철종

왕실외척에 의한 세도정치-붕당의 기반 완전 붕괴

 

11.고종

대원군의 개혁정치, 양반의 특권 축소



이미지 보기가 불편하다면 클릭!(모바일화면으로 보기)





공무원 시험 학습자료 및 관련정보

가공생의 복습창고 

http://gagongbox.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