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분류사

<한국사>국가들의 중앙 관제 비교

 

 

 

 

고구려

 

초기 - 고관직을 형으로 불렀거 5부족 군장세력인 소수 귀족이 관직 독점. 관리직으로 사자 조인 선인등 일반 하위직이 있음.

평양성 천도 후 - 수상격인 대대로. 후에 대막리지. 아래 재정담당인 주부와 내무의 내평 외무의 외평이 국정 분장 태대형 대사자 선인 등 10여 관등이 존재하였고 보통 14관등으로 고정,

 

 

백제

 

수상격인 상좌평 또는 내신좌평이 3년마다 정사암회의에서 선출. 고이왕때 6좌평 16관등제 마련. 사비천도후 22부의 중앙관제로 정비되고 좌평이 국정총괄

 

 

신라 

 

법흥왕때 각부 하급관료기구를 흡수, 17관등제 정비. 골품제도와 결합운영 

 

 

발해

 

3성6부제 모방, 정당성 중심의 이원적 운영, 유교적 명칭 사용

 

 

고려

 

초기 태봉의 관제를 답습하고 신라와 송의 관제 일부모방, 성종때 3성6부제와 도병마사 식목도감등 독자적인 기구를 조합. 18품위계 구분, 실제로는 17등급, 신라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

 

 

 

-공무원 시험 한국사 내용 비교







공무원 시험 학습자료 및 관련정보

가공생의 복습창고 

http://gagongbox.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