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사서>
18세기 이후의 역사서
민족의식의 고치와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민족의 정통성 강조
동국역대총목 - 홍만족,숙종때,단군을 정통국가의 시작 기자 마한 통일신라로 계승 삼국시대는 정통이 없는 시대로 여김, 이익과 안정복에게 계승,고려와 조선에 대한 왕실중심의 역사서술
동사회강 - 임상덕,숙종때,방대한 사서와 자료를 참고하여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엮음,편년체,동사강목에 영향을 줌
동사강목 - 안정복,명분론에 입각한 실증적 역사연구 집대성,편년체,삼한정통론과 민족독자성,고증을 엮은 통사, 자주의식 강조
해동역사 - 한치윤,외국사서인용,기전체적 분류사,단군조선 앞에 동이문화권 설정, 중국 일본과의 교류를 정리
연려실기술 - 이긍익,기사본말체의 야사, 실증적 객관적으로 정리, 백과사전식 정리
열조통기 - 안정복,정조때, 편년통사
동사 - 이종휘,고구려에 큰 비중,만주중심 역사관
발해고 - 유득공,남북국 형세 파악
해동명장전 -홍양호,외침에 대항한 명장들의 전기
대동야승 - 야담과 야사집
규사 - 이진택, 철종때,차별대우의 철폐주장
연조귀감 - 이진흥,헌종때,향리에 대한 양반혈통과 대우를 주장
근대사학
민족성과 계몽성 애국심 독립심을 강조하여 자주성과 독자성 정통성 호소
계몽사학 - 유교적 사대주의를 비판, 실학의 정통사론 계승, 민족주의 부각
조선역대사략:동국통감 비판, 단군의 부각,유구한 자주독립국가 강조
대동역사:국가적 독립서과 정통성 강조,정교 칭송
역사집략:중국 중심역사 탈피,세로운 국제질서 강조
민족주의 사학 - 한국사를 체계화, 민족주의 연구방향 제시
독사신론:신채호, 한국통사:박은식, 조선사연구:정인보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명학과 강화학파 (0) | 2016.12.21 |
---|---|
조선시대 광업 (0) | 2016.12.20 |
조선의 역사서1 <한국사>분류사 정리 (0) | 2015.04.02 |
조선시대 토지제도 변천과정 <한국사> 내용정리 (0) | 2015.03.29 |
<한국사>국가들의 중앙 관제 비교 (0) | 201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