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사서2 <한국사>분류사 요정정리
18세기 이후의 역사서 민족의식의 고치와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민족의 정통성 강조 동국역대총목 - 홍만족,숙종때,단군을 정통국가의 시작 기자 마한 통일신라로 계승 삼국시대는 정통이 없는 시대로 여김, 이익과 안정복에게 계승,고려와 조선에 대한 왕실중심의 역사서술 동사회강 - 임상덕,숙종때,방대한 사서와 자료를 참고하여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엮음,편년체,동사강목에 영향을 줌 동사강목 - 안정복,명분론에 입각한 실증적 역사연구 집대성,편년체,삼한정통론과 민족독자성,고증을 엮은 통사, 자주의식 강조 해동역사 - 한치윤,외국사서인용,기전체적 분류사,단군조선 앞에 동이문화권 설정, 중국 일본과의 교류를 정리 연려실기술 - 이긍익,기사본말체의 야사, 실증적 객관적으로 정리, 백과사전식 정리 열조통기 - 안정복,..
더보기
조선의 역사서1 <한국사>분류사 정리
15세기의 역사서 성리학적 명분론의 유교사관과 민족적 자주 자존의식 - 단군을 민족시조로 의식 고려국사 - 정도전,태조때, 왕명에 의한 고려전체의 역사를 완성한 첫 사서, 편년체, 고려멸망의 당위성과 조선건국의 합리화 동국사략 - 권근 하륜,때종때, 단군~삼국시대를 다룸,강목체,단군 기자 위만 한사군 삼한 삼국의 순으로 상고사 체계화, 불교 문화에 대한 강한 비판 고려사 - 김종서 정인지,문종때, 고려시대 역사서술,139권 기전체, '고려국사'에서 국왕보다 재상의 역할 강조를 수정, 조선건국의 합리화를 위해 고려말을 왜곡 삼국사절요 - 서거정 노사신,세조에서 성종때,삼국시대 역사,편년체,자주적 입장의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의 목적 고조선 고구려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체계 신편 동국통감 - 서거정 등,성종때,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