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 운동의 전개 10.26 사태 이후 국무 총리였던 최규하는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 있다가 통일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 된다. 1979년 전두환 보안사령관과 신군부로 불리는 세력들은 불법적으로 군대를 동원하여 계엄 사령관이었던 당시 육군 참모총장을 체포하고 군부를 장악한다. 신군부 셍력은 4년제 정규 육사를 졸업한 군인들로 박정희의 비호 아래 성장한 세력들이었다. 이들은 군부내 강경파로 12월 12일 무력을 동원해 온건파 세력을 장악해 군사권을 독점했다. 이듬해 4월 보안사령관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 서리를 겸임하며 권력장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민주화의 지연에 실망한 학생들과 시민들은 신군부의 퇴진과 계엄 철폐를 요구하는 시위를 대대적으로 벌이며 1980년 5월 15일 서울역 시위가 절정에 달한다. 5월17일 .. 더보기 이승만 정부와 장면 내각의 통일 정책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 남과 북 모두 무력에 의한 한반도 통일을 공개적으로 내세웠다. 북한은 6.25 전쟁을 일으키며 군사적 충돌이 전개 되었다. 정전 협정후 제네바 정치 회담에서 한반도의 통일 문제를 논의하게 되었다. 남과 북은 전쟁 이전부터 주장하던 선거 방법을 되풀이 한채 회담을 끝냈다. 이승만 정부는 반공을 국시로 내세우고 있었고 북진 통일을 주장하였다. 또한 평화 통일을 주장하는 세력에 대해 용공으로 탄압하였다. 북한은 1950년 대 중반, 전후 복구와 경제개발이 본 궤도에 오르자 남북 적십자 회담과 경제원조 등을 제안하면서 평화 통일 공세를 강화했다. 장면 내각의 통일 정책 혁신 세력은 중립화 통일 방안을 제기 했고 학생들은 남북 학생 회담을 추진했다.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라는 구호가 .. 더보기 1946년 이후의 정치상황 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국민들의 실망과 우려과 높아졌다. 또한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운동이 더해지자 분단의 위기가 고조되었다. 여운형과 김규식을 중심으로 중도세력들은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했다. 미군정은 김구와 이승만의 극우 세력을 배제하고 김규식 여운형등 중도 세력을 중심으로 미국에 우호적인 정부를 세우길 바랬다. 이에 미군정은 좌우 합작운동을 지원하게 된다. 당시 좌익과 우익 모두 좌우 합작으로 분단을 피하고 통일을 해야 하는데에는 뜻을 같이했다. 하지만 토지 문제와 친일파 처리 문제에 의견이 엇갈렸다. 좌익은 5원칙을 우익은 8원칙을 제시하였다. 좌익은 토지의 무상몰수 무상분배, 중요 산업의 국유화와 민주주의적 노동 법령 및 정치적 자유를 ㅇ위한 미주주의 기본 과업완수를 주장하며 3상.. 더보기 이전 1 2 3 4 ··· 2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