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광업 제도
15세기 조선 초
국가에서 직영, 사적인 광산을 경영통제
정부의 수요액수를 설정하고 관할 수령이 농민들을 부역동원
16세기
광산 경영방식에 무리가 많아 농민들이 광산에서 부역 동원을 거부
정부가 사채를 허용하면서 개발이 촉진됨
대청무역의 은 수요증가로인해 은광개발이 성행
호조가 은광을 관장
17세기 중엽
잠채가 성행하여 효종때 호조의 비용으로 설점 채굴
관리인을 보내 운영 - 별장제
설점수세시행
18세기 중엽
농민들이 광산에 집중하면서 사채가 금지됨
별장제 폐지, 수령수세제
상업 자본가들이 시설과 자금을 투자하고 광산 전문가가 경영 채광은 계절 노동자가 담당
농업에 지장을 주어 공개적 채취를 그지
잠채의 유행
덕대제가 성행
덕대가 상인 물주로 부터 자본을 조달받고 채굴업자인 혈주 채굴노동자 광군 제련 노동자 등을 고용하여 광물을 채굴재련
덕대제는 광업에 대한 국가독점을 해체 개인 광업을 법적으로 정해준 제도.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명학과 강화학파 (0) | 2016.12.21 |
---|---|
조선의 역사서2 <한국사>분류사 요정정리 (0) | 2015.04.03 |
조선의 역사서1 <한국사>분류사 정리 (0) | 2015.04.02 |
조선시대 토지제도 변천과정 <한국사> 내용정리 (0) | 2015.03.29 |
<한국사>국가들의 중앙 관제 비교 (0) | 201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