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예산의 포괄범위는 비금융공공부문으로서 금융성격을 띠는 공공금융기관은 제외.
통합예산은 공식회계가 아닌 재정통계이므로 현금주의로 작성.
우리나라 법정예산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예산, 그리고 중앙 정부의 각종 기금으로 나뉨. 따라서 국가 전체의 재정활동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국가의 예산이라 하면 일반회계와 특별회계까지 포함하는 영역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질적인 공공부문의 재정은 더 규모가 큼.
통합 예산은 한나라의 정부부문에서 1년 동안 지출되는 재원의 총체적인 규모.
국가는 물론 지방재정까지 법정예산인 일반 회계 및 특별회계는 물론 기금까지 모두 포함.
정부예산의 총괄표.
공산국가에서 발달하여 IMF 회원국에게 도입을 권유하기도 함
우리나라의 경우 1979년 도입하고 1997년 이후에는 통합 재정지수라는 이름으로 월별 작성 발표한다.
공식적인 법정예산은 아니고 법정예싼과 병행하여 작성 발표되는 통계.
2004년 이전까지 지방재정이 통합재정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지방재정의 일반 회계 기금 교육 특별회계 까지 모두 포함
'행정학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과정 <행정학 재무행정 개념정리> (0) | 2015.10.22 |
---|---|
의사결정의 상황적 접근 - 행정학 기본 개념 (0) | 2015.09.14 |
행정단계별 행정이념과 우선순위 <행정학>기본이론 (0) | 2015.02.08 |
정부규제의 목적과 정당성 <행정학>기초이론 (0) | 2015.02.07 |
<행정학 입문>시장실패 원인별 정부의 대응 (0) | 201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