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의정서 1904.2 - 군사시설이용권
러일전쟁 직전 대한제국은 국외 중립을 선언 1904.1
서울을 무력으로 침략한 일본군은 강압으로 이지용과 하야시사이에 6개조 체결
-군사기지 사용권
-충고권
-항해권 어업권 통신망 부설권 철도 부설권
한국과 러시아 사ㅣ의 조약과 협정 모두 폐기
제1차 한일 협약 1904.8 한일협정서 외국인 용빙협정 - 고문정치
일본이 황무지 개척권을 철회하는 대신 고문관의 초빙을 강요
일보는 조선 식민화 방안 마련
하야시와 윤치호 사이에 3개조가 체결
재정고문 - 매가다
외교고문 - 스티븐스
경찰고문 - 마루야마
군사고문 - 노즈
학부고문 - 시데하라
제2차 한일 협약 1905.11. 을사늑약 - 통감정치
일진회를 조직하여 보호조약의 필요선 선전
이토히로부미 하야시 일본군이 궁궐에 침입하여 참정대신 한규설 탁지부 대신 민영기를 끌어내고 날인
이토히로부미 초대통감 부임후 모든 내저간섭, 외교권 상실, 청과 일본 간도협약
을사늑약반대운동
-이상설 조병세 등 조약파기상소
-민영환 홍만식 조병세 자결
-황성신문 장지연의 시일야방서대곡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조약 무효주장
5적암살단 일진회공격, 항일 의사 의거, 의병활동, 헤이그 밀사사건
정미7조약 한일 신협약 - 차관정치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고중 퇴위시키고 순종 즉위 1907.7
고문제도 폐지되고 각부의 차관자리에 일본인 과리가 다수 임명
보안법 학회령 신문법 사립학교령 출판법 등을 만들어 문화계몽운동 탄압
군대해산 1907.8.1
기유각서 1909 - 사법권박탈
2대통감 소네가 사법권을 이양받고 통감부에 사법청을 설치
한일 합방 1910 -주권박탈
육군대신 데라우치가 임명되어 병합임무 실천
경찰권 위탁협정. 경시청 폐지하고 경찰통감부 설치 - 경찰권 박탈 1910.6
데라우치와 이완용사이에 합병조약 체결, 조선은 법률에 의하지 않고 칙령 제령 등 천황과 총독의 명령에 의해 통치됨
-공무원 한국사 시험 내용 정리
'한국사 > 근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시정부의 수립과 그 배경 <한국사> (0) | 2015.10.12 |
---|---|
임오군란과 청의 내정간섭 <한국사>근세사 핵심정리 (0) | 2015.03.30 |
근대화 과정 중 열강의 간섭 <한국사>근현대사정리 (0) | 2015.02.09 |
<한국사> 근현대사-독립군의 활동 1920년대 (0) | 2014.09.17 |
<한국사 내용 정리>개화사상의 흐름 (0) | 201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