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입에 게거품을 물다. (개거품 X)
그는 구레나룻(구렛나루X) 때문에 나이가 더 들어보였다.
오늘 끗발(끝발X)이 좋네.
터널에서는 추월을 하기 위해 끼어들기(끼여들기X)를 해서는 안 된다.
봉숭아를 돌멩이(돌맹이X)로 곱게 빻았다.
시험이 코앞인데 만날(O)(맨날O) 놀기만한다.
방방곡곡(방방곳곳X)을 다녔다.
건물 내 에서는 흡연을 삼가(삼가해X)주십시오.
회식에서 성대모사(성대묘사X)와 같은 개인기는 기본이다.
셔츠의 소맷귀(소매깃X)가 다 닳았다.
세살배기(세살박이X) 준영이 영어로 말한다.
선행도 남들에게 의심받기가 십상(쉽상X)인 세상이다.
게거품 - 사람이나 동물이 몹시 괴롭거나 흥분했을 때 입에서 나오는 거품같은 침
구레나룻 -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끗발 - 노름 따위에서 좋은 끗수가 잇따라 나오는 기세
끼어들기 - '끼다'와 '들다'의 합성어. 두 용언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연결 어미는 '-어'이다.
널빤지 - 판판하고 넓게 켠 나뭇조각
돌멩이 - 돌덩이보다 작고 자갈보다 큰 돌
만날/맨날 - 매일같이 계속하여서. 둘다 표준어
방방곡곡 - 한군데도 빠짐이 없는 모든 곳
성대모사 - 자신의 목소리로 다른 사람의 목소리나 새 짐승따위의 소리를 흉내 내는 일
소맷귀 - 소맷부리의 구석 부분
~배기 - '그 나이를 먹은 아이'의 접미사
~박이 - '박다'의 뜻을 유지한 경우 (오이소박이 , 차돌박이 )
십상 - 십중팔구의 준말. 열에 여덜이나 아홉정도로 거의 예외가 없음.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문법 - 한글 맞춤법 자모 (3) | 2014.09.14 |
---|---|
<국어>문법- 한글 맞춤법 총칙 (0) | 201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