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국어>문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입에 게거품을 물다. (개거품 X) 그는 구레나룻(구렛나루X) 때문에 나이가 더 들어보였다. 오늘 끗발(끝발X)이 좋네. 터널에서는 추월을 하기 위해 끼어들기(끼여들기X)를 해서는 안 된다. 봉숭아를 돌멩이(돌맹이X)로 곱게 빻았다. 시험이 코앞인데 만날(O)(맨날O) 놀기만한다. 방방곡곡(방방곳곳X)을 다녔다. 건물 내 에서는 흡연을 삼가(삼가해X)주십시오. 회식에서 성대모사(성대묘사X)와 같은 개인기는 기본이다. 셔츠의 소맷귀(소매깃X)가 다 닳았다. 세살배기(세살박이X) 준영이 영어로 말한다. 선행도 남들에게 의심받기가 십상(쉽상X)인 세상이다. 게거품 - 사람이나 동물이 몹시 괴롭거나 흥분했을 때 입에서 나오는 거품같은 침 구레나룻 -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끗발.. 더보기 <국어>문법 - 한글 맞춤법 자모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자로 하고 그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그림)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 ㅏㅐㅑㅐ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기역(O) (기억X, 기윽X) 시옷(O) (시읏X) 키읔(O) (키엌X, 키옄X) - 공무원 시험 복습 노트 공무원 시험 학습자료 및 관련정보 가공생의 복습창고 http://gagongbox.tistory.com 더보기 <국어>문법- 한글 맞춤법 총칙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이 원칙 표준어의 발음 형태대로 적는다. 맞춤법이란 주로 음소문자에 의한 표기방식이므로 한글은 표음문자이고 음소문자임에 따라 자음 모음의 결합 형식에 의해 표준어를 소리대로 표기하는 것이 근본 원칙. 어법에 맞게 쓴다는 것은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형태소의 본모양을 밝힌다는 뜻이다. (예외 - '얽히고설키다') 단어는 독립적 단위이므로 각 단어는 띄어씀이 원칙. 조사의 경우 접미사 범주에 포함시키기 어려우므로 하나의 단어로 다루어짐.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소리대로 - 지붕, 의논, 오세요 어법에 맞게 - 타향살이, 합격률, 붙이다 띄어쓰기 -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 - 공무원시험 국어 문법 정리 공무원 시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