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근세사

일제에 저항한 사회운동의 종류

일제에 저항한 사회적 운동






러시아 혁명에 성공한 레닌이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겠다고 발표,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사회주의와 연결하여 독립운동을 추진


사회주의 사상이 청년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널리 파급되어 사회운동에 영향


사회주의 계열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민족주의 운동과 사상적으로 대립을 초래


1920년대에 민족주의자와의 결합을 모색하여 민족유일당운동 일어남




청년의 품성도야 지식계발 체육장려 등으로 풍속개량과 미신타파를 이루고 사회개선을 추구

민족의 생활과 역량을 향상시켜 자주독립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목적


강연회 토론회의 개최 학교 강습소 야학의 설치와 운영 사회교화와 생활개선을 꾀함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 후 민족주의꼐열과 사회주의계열로 나뉨 

청년운동의 분열을 수습하기위해 조선청년총동맹이 조직됨





천도교 청년회가 소년부를 설치하면서 본격과 되고 천도교 소년회로 독립하여 어린이날 제정


소년운동의 전국적 조직체로 조선소년연합회가 결성


지도자들사이의 사상 이념의 대립으로 소년운동이 분열

중일전쟁이후 일제가 금지시키고 소년단체를 해산시킴






토지조사사업의 실시로 많은 농민들이 몰락

화전민의 격증 만주나 일본으로 이주증가 원주민과 알력으로 인한 만주에서 만보산사건


조선노동공제회의 조직으로 전국적 연결 노동단체였지만 소작쟁의 지도


조선노동 총동맹에서 분리되어 조선농민총동맹의 발족 적색농민조합운동으로 전개


일제는 가혹히 탄합함으로써 농민운동조직을 와해하고 완화책으로 농촌진흥운동을 벌임.

농촌진흥운동은 일제의 수탈로 궁핍해진 농민들의 저항을 문마하기 위한 관제운동





일제의 식민지 공업화 추진으로 가혹한 노동조건에서의 쟁이.


임금인상의 요구를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단체계약권 8시간 노동제 실시 악질 일본인 감독추방등의 요구조건을 제시하게 됨


1927년 조선농민총동맹과 조선노동총동맹으로 분리


세계공황이후 파업 투쟁건수 급증



1930년대 이후 적색노동조합의 활동으로 폭력 투쟁이 전개되었으나 1937년 중일 전쟁후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 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