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어휘

24절기와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절기를 나타내는 한자어



나이를 나타내는한자어




절기를 나타내는 한자어(양력)


입춘 2월 4일경

우수 2월18일경

경침 3월5일경

춘분 3월20일경

청명 4월5일경

곡우 4월 20일경

입하 5월6일경

소만 5월 21일경

망종 6월6일경

하지 6월 21일경

소서 7월7일경

대서 7월 23일경

]입추 8월7일경

처서 8월23일경

백로 9월8일경

추분 9월 23일경

한로 10월 8일경

상강 10월 24일경

입동 11월7일경

소설 11월 22일경

대설 12월 8일경

동지 12월 22일경

소한 1월 5일경

대한 1월 20일경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충년 10세 어린 나이라는 의미

지학 15세 공자가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과년 16세 과자를 파자하면 88이 되어 여자나이 16세를 나타냄 과거 16세를 유난히 강조한 것은 결혼 적령기였기 때문

약관 20세 남자가 성인이 되어 관을 쓰는데서 유래

방년 20세 여자의 일생에서 가장 꽃처럼 아름다운 나이라는 뜻

이립 30세 공자가 30세에 자립하여 한문의 기본을 마련했다는 데서 유래

불혹 40세 공자가 40세에 모든 것에 미혹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상년 48세 상의 속자를 파자에서 유래

50세 지명 지천명 공자가 50세에 인생의 이치를 알았다는 데서 유래

이순 60세 공자가 60세에 세상의 이치와 순리를 받아들였따는 데서 유래

환갑 회갑 환력 화갑 61세 태어난 간지로 돌아간다는 뜻

진갑 62세 환갑 다음해의 생일 새로운 갑자로 나간다는 뜻





'국어 >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치다 붓다 동음이의 및 다의 관계  (0) 2016.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