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 운동의 전개
10.26 사태 이후 국무 총리였던 최규하는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 있다가 통일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 된다.
1979년 전두환 보안사령관과 신군부로 불리는 세력들은 불법적으로 군대를 동원하여 계엄 사령관이었던 당시 육군 참모총장을 체포하고 군부를 장악한다.
신군부 셍력은 4년제 정규 육사를 졸업한 군인들로 박정희의 비호 아래 성장한 세력들이었다. 이들은 군부내 강경파로 12월 12일 무력을 동원해 온건파 세력을 장악해 군사권을 독점했다.
이듬해 4월 보안사령관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 서리를 겸임하며 권력장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민주화의 지연에 실망한 학생들과 시민들은 신군부의 퇴진과 계엄 철폐를 요구하는 시위를 대대적으로 벌이며 1980년 5월 15일 서울역 시위가 절정에 달한다.
5월17일 신군부 세력은 전국으로 비상계엄을 확대하고 김대중을 비롯한 정치인과 학생운동 지도부를 체포한다.
10.26 사건 이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이 선포된 상태였으나 5.17 비상계엄 확대로 인해 사실상 전시와 같은 상황이 되었고 이는 주도적으로 군이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5월 18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계엄철폐와 김대중 석방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전개 되고 계엄군은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부상자가 속출하게 된다.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시위에 합류하게 된다.
5월20일 금남로에 10만여명의 인파가 집결하고 수백대의 차량이 시위에 참가하게 된다. 시위하는 군중에 밀린 계엄군은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고 시위군중들은 교외 경찰서 파출소의 소총으로 무장하여 시민군을 조직한다.
5월22일 계엄군은 광주 외곽을 봉쇄하여 광주에 대한 물자 공급및 통신을 차단한다. 시민 대표들은 수습 대책 위원해를 결성하고 자발적 무장 해제와 정부협상을 시도한다.
5월27일 계엄군은 전남도청 진압작전을 실행하고 유혈 진압을 강행한다.
전두환 정부는 탄생 초기 부터 5.18 민주화 운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정통성이 문제가 되어 왔다. 이는 1980년대의 민주화 운동이 계속 전개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반미운동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