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입문> 행정개념에 관한 학설
행정관리설 1880년대~ 1930년대 : 행정의 관리 기술성
엽관주의의 폐단 극복을 위한 Pendleton법 제정 직후의 행정학 성립기의 개념. 가장 고전적인 행정 관점
행정을 법이나 정책을 구체적으로 관리 집행하기 위한 인력과 물자의 관리 기술로 봄. 기술적 행정학의 관점
행정을 정치와 분리하여 경영과 동일시. 당시의 학자들은 과학적 관리와 원리접근을 통해 행정의 능률성 강조
통치기능설 1930년대~ 1940년대 : 행정과 정치의 연계
경제대공황을 계기로 생긴 행정국가시절의 개념. 행정은 사회문제를 처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가치판단 기능이다. 기능적 행정학의 관점
행정을 정책의 구체와와 정책졀정 형성 및 준입법적 기능으로 인식. 정치와 행정의 연계 위에서 행정 가치지향성과 기술성을 중시
행정행태설 1950년대~ 1960년대 : 협동적 집단행동 및 행정학의 과학적 연구
합리적 의사결정행태라는 입장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인간의 협동적 집단 행동을 강조.
가치결정과 사실결정으로 구분, 행정학의 연구대상을 사실결정에 국한해야함을 주장.
행정과 경영간에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입장,논리실증주의를 사용하여 행정연구의 과학화를 강조
발전기능설 1960년대 : 행정의 국가발전 유도기능
개발도상국의 정부주도적 고도성장을 뒷받침하기위한 입장
국가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행정의 적극적인 사회변동기능을 강조, 행정을 국가발전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을 결정 집행하는 과정으로 인식
행정우위론적 정치행정일원론
정책화기능설 1970년대 : 사회문제 해결자로서의 행정기능
1960년대 말 격동기의 미국사회를 배경으로 출현, 행정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정책의 형성 및 집행과정으로 본다. 정책지향 및 가치지향성 강조.
가치중립적인 행태론이 현실의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나약한 이론이라고 비판한 후기 행태주의나 정책과학 등 신행정론의 입장.
신공공관리 1980년대 : 공공부문의 시장화
정부실패를 치유하기 위해 규제완화 복지 축소 민영화 등을 통해 정부기능 축소를 주장. 1980년대의 신자유주의를 토대로 행정의 경영화 시장화 중시
행정을 국가에 의한 통치나 지배가 아니라 시장원리에 입각해 시장적 거버넌스로 보고 시장기법의 도입에 초점
뉴거버넌스와 신공공서비스 : 1990년대
거버넌스 - 참여와 서비스 연계망의 관리, 시장기법에의 한 의존보다 사회구성원관 신뢰와 협조를 근간으로 하는 네트워크나 공동체에 의한 협력적 행정 중시
신공공서비스 -신공공관리에 반기를 들며 행정에서 정치적 요소가 중요하다고 보고 시민에게 적극 봉사하는 정부의 역할 강조.
- 공무원시험 행정학 요점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