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분류사
양명학과 강화학파
관리자님
2016. 12. 21. 00:00
강화학파
정몽주의 후손인 정제두가 양명학에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면서 16세기말 양명학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
하지만 이론과 달리 실천성이 약하였고 이단으로 몰려 내면적으로만 숭상됨
정제두
양명학의 학문적 체계를 수립 존언 만물일체설
지행합일설을 강조하고 하곡문집 변퇴계전습록변 등을 저술
양명학
장유 최명길 정제두 등이 연구하여 일본에 많은 영향을 줌
16세기 이황이 전습록을 비판했지만 18세기 초 정제두에 의해 이황이 비판받음
한말 이후 이건창 김택영 박은식 정인보 등 국학자에게 영향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주관적 실천적인 유학쳬계로 주기론적 입장인 왕수인 학문을 연구
소론계열 학자들에 의해 연구, 강화도를 중심으로 서울 충청도 등의 서해안 지방에서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