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 - 고전 산문의 흐름
삼국시대 이전의 설화는 고려시대에 가전체 문학으로 발전 하였고 이는 조선시대에 고전소설로 기록된다. 고려시대의 설은 조선시대에와 고전수필 발전하게되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와 고전극이 유행하게 된다.
설화
민족이라는 일정한 공동체 속에서 구비되고 전스오디는 허구적 이야기이다. 설화는 한 민족의 생활 감정과 풍습을 암시한다. 상상적이고 공상적이지만 그 형식은 서사적이어서 소설의 모태가 된고 이러한 설화가 문자로 정착되어 설화문학이 탄생한다.
가전체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 형식으로 서술하는 문학양식이다. 인간사의 다양한 문제를 의인화하여 간접적이고 우회적으로 비평한다. 때문에 팡자적인 모습을 지닌다.
설
해석과 서술을 주로하는 한문 문학 장르이다. 당나라 이후 문학 작품의 체제를 갖추었다. 구체적인 사뭄ㄹ이나 현상을 관찰하여 그속에 담겨있는 사물의 이치나 인간의 도리를 끌어내어 자기 의견을 내세우는 형식이다.
고전수필
조선후기 주로 여인들의 기행문이나 일기문으로 국문수필이 많다. 대체로 부드럽고 유려한 형식을 띠며 섬세하고 우아한 감정을 드러낸다.
고전소설
보통 고전소설이란 갑오개혁 이후 나온 신소설과 구분하기도 한다. 현대소설에 비하여 현실적 의식이 약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현실주의 경향이 강해진다. 보통 환상적이거나 신비한 관념적 성격이 강하다.
판소리
조선중기 이후 남도지방 특유의 곡조를 토대로 발달했다. 고수의 장단에 맞춰 내용을 육성과 몸짓을 곁들어 부르는 민속악이다.
고전극
농경 의례나 장례 의식 등이 많다. 원시 종교의식에서 출발하여 예능으로 발전한 양식이며 가면극과 민속 인형극 그림자 림자극 판소리 등이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 공무원 시험 요점 정리 한국사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