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중세사

고려말의 정치 세력 <한국사 요점정리>

관리자님 2015. 10. 20. 13:21

 

<고려말의 정치 세력>

 

 

 

권문세족

 

몰락하지 않은 문벌귀족이 권문세족이 되거나,

무인세력이 성장한 경우이거나,

원에 아부하는 부원세력(역관 응방 환관 결혼 등의)

 

대지주로서 주로 부재지주

중앙관직을 통해 정계에서 영향력 행사

문학적 소양 부족

친원파

유학 불교 세력과 결탁

 

 

 

신진사대부

 

무인정권기부터 등장시작

공민왕이 권문세족에 대항하고자 대거 등용

주로 과거를 통해 등장

 

지방 중소지주층(지방향리), 자작농

자기지방 향촌에서 영향력 행사

능문능리, 문학적 소양 갖춤

친명파

성리학의 신진 지식층

 

 

 

신흥 무인세력

 

최영 - 1376년 홍산싸움, 권문세족 출신으로서 왜구의 침입을 격퇴

최무선,나세 - 1380년 진포대첩, 화통도감 설치하고 화포를 사용하여 승리

이성계 - 1380년 황산전투에서 왜구 토벌, 1361년 홍건적 격퇴

정지 - 1383년 관음포전투에서 왜구 토벌

박위 - 1389년 쓰시마섬 정벌